“만약 항균동만 썼더라면…①”

“만약 항균동만 썼더라면…①”

  • 비철금속
  • 승인 2018.03.19 08:30
  • 댓글 0
기자명 방정환 jhbang@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대 목동병원 신생아 사고 원인 ‘감염’
병원 내 감염사고 예방에 ‘항균동’이 최적 솔루션

  지난해 12월 16일 저녁 시간에 한국 사회에 대단히 불행한 사건이 발생했는데, 이대 목동병원에서 1시간 21분 만에 신생아 4명이 연달아 사망한 사건이었다.

  상급종합병원의 소아중환자실(ICU)에서 거의 동시에 갓난아기들이 사망하자 사망원인에 대한 다양한 추측이 있었는데 부검 결과, 신생아 3명에게 ‘시트로박터 프룬디균’이라는 세균에 감염된 것으로 보고됐다. 가장 안전해야할 병원 응급실에서 세균 감염이 이뤄져 사망한 것이다.

  이 사건은 유가족은 물론 우리 사회에 불행한 사건이었는데, 병원에서 감염 관리만 잘 했더라면 이러한 불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래서 감염관리를 철저히 하지 못했기에 발생한 사건이기에 향후 대처방안 마련이 중요해졌다.

  실제로 병원 내에서 철저히 위생, 감염 관리를 한다고는 하지만 그 수준이라는 것이 손소독제를 사용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하지만 신생아, 영유아 등 어린이들은 감염에 매우 취약하다는 것을 결코 방과해서는 안 된다.

  그렇다면 병원에서 100% 철저하게 위생을 관리하고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일부 병원에 특수 병실로 무균실을 갖추고 있지만 모든 환자들에게 적용할 수는 없다. 100%의 방법은 없더라도 감염을 최대한 막을 수 있는 방법은 분명 있을 것이다.

  가장 유력한 방법으로 중환자실, 병실, 더 나아가 병원 전체에 사람의 손길이 닿는 장비, 물품 등에 항균동(抗菌銅)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다.  (※ 본 기획연재는 매주 월요일에 6회에 걸쳐 게재될 예정입니다)

 

▲ 칠레에서 가장 오래된 소아과 시설인 Roberto del Rio Children’s Hospital은 중환자실 및 치료실에 항균동 표면제품을 설치해 의료 관련 감염의 위험을 줄였다. (사진 출처 : ICA)


 
  ■ 銅의 강력한 항균 성능

 

  항균동은 미국 환경보호청(EPA)에 등록된 유일한 터치 표면 소재로, 의료기관 감염(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을 유발하는 박테리아의 99.9% 이상을 2시간 이내에 박멸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동과 동 함량 60% 이상의 동합금에서 효력을 갖는 항균동은 동(구리) 자체가 지닌 천연 항균성으로 교차오염 등 전염성 감염 질환 예방에 매우 효과적이다.

  과학적으로 구리 표면은 박테리아에 두 가지 순차적인 단계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첫 번째 단계는 구리 표면과 박테리아 외피 사이의 직접적인 상호 작용으로 세포막이 파열되며, 이 때 생기는 세포막의 구멍을 통해 박테리아 세포가 필수 영양소와 수분을 잃어 세포가 전반적으로 약해지게 된다.

  박테리아와 같은 단일 세포 유기체를 포함하여 모든 세포의 외피는 안정적인 전기 미세 전류가 흐르는 특성이 있는데, 세포의 내부와 외부의 전압 차이가 발생한다. 박테리아가 구리 표면과 접촉하게 되면 세포막에서 전류의 단락이 발생하고, 이것은 세포막을 약화시키고 구멍을 만들게 된다.

 

▲ 동(구리) 표면에서 박테리아가 박멸되는 과정(이미지 출처: http://clarksecurity.com/how-copper-door-hardware-fights-superbugs)

 

  세포막에 구멍을 만드는 또 다른 방법은 국부산화 또는 부식이며, 이런 국부산화나 부식은 단일 구리 분자 또는 구리 이온이 구리 표면에서 방출되어 세포막의 빌딩 블록(단백질 또는 지방산)을 공격할 때 발생한다. 이렇게 세포의 주요 방어막인 외피가 뚫림으로써 세포 안으로 들어가는 구리 이온의 흐름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박테리아 세포를 위협하는 치명적인 프로세스가 나타난다.

  구리 이온이 세포 내부를 장악하고 세포 신진 대사(생명에 필요한 생화학 반응)를 방해하는 것이다. 이러한 파괴 과정은 효소에 의해 수행되고 촉진되는데, 과량의 구리가 효소와 결합할 때 효소활동은 멈춘다. 이로 인해 박테리아는 더 이상 ‘호흡하지도’, ‘먹지도’, ‘소화시키지도’ ‘에너지를 생성할’ 수도 없게 됨으로써 소멸되는 것이다.

  세포막 천공 후 구리는 방해가 되는 모든 효소를 억제하고, 세포가 영양분을 운반, 소화시키지 못하게 할뿐만 아니라 손상된 막을 복구하거나 호흡하지도 증식하지도 못하게 한다. 이것이 광범위한 종류의 미생물들이 구리 접촉에 취약한 이유이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