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산업의 혁신성장 위해 한국로봇용접기술원 설립 필요”

부경대-대한용접접합학회 동남지회, ‘글로벌 로봇용접기술동향 심포지엄’ 개최 “용접산업의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로봇용접으로 가야”

2018-07-11     엄재성 기자
글로벌

부산과학기술기획평가원(BISTEP)의 기획과제의 일환으로 부경대학교 한국로봇용접기술원 설립 기획연구회(총괄책임 조상명 교수)는 대한용접접합학회 동남지회(지회장 박영도 교수)와 공동으로 7월 10일 오후 1시부터 6시까지 해운대 그랜드 호텔에서 ‘글로벌 로봇용접기술동향 심포지엄’을 개최하였다.

이 심포지엄은 한국로봇용접기술원 설립을 위한 공청회 성격의 모임이었다.

용접산업계와 로봇산업계 및 학계, 연구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150명 이상이 참석하였고 총 6건의 발표와 패널 토론을 통하여 로봇용접의 기술 수요와 로봇용접 인력의 필요성에 대하여 확인하는 자리를 가졌다.

레이저 로봇용접 분야의 기술동향과 수요에 대해 한국기계연구원 부산 레이저기술지원센터 서정 센터장의 발표를 비롯하여 로봇업계의 ABB코리아, 한국FANUC의 글로벌 로봇용접 동향에 대한 발표가 있었고 대우조선해양㈜의 조선분야 로봇용접 적용 실태와 금후의 방향에 대한 발표도 있었다. ㈜이지로보틱스에서는 가상생산기술을 이용한 용접로봇 활용기술 및 사례를 발표하였다. 이어서 로봇용접기술원의 설립 당위성과 추진현황에 대하여 조상명 교수가 발표하였다.

부경대학교

마지막으로 패널 토론회에서는 주로 로봇용접의 필요성과 금후 로봇용접 관련한 새로운 일자리의 수요와 동향에 대해 논의하였고, 로봇용접 시스템통합(SI) 회사의 부족과 그 활성화에 대해서도 토론하였다. 그리고 로봇용접 인력이 현재도 부족하여 이 분야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큰 걸림돌이 된다고 보고되었다.

최근 중국에서는 수동 용접사가 월 60만원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로봇용접을 추진하는 이유는 젊은 용접사의 유입이 부족하여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로봇용접이 필수적인 과제임을 엿볼 수 있는 사례도 보고되었다.

한국 용접산업의 규모는 글로벌 탑10 수준이나 정부의 용접산업에 대한 투자 부족으로 4차 산업에 적합한 형태의 로봇용접 산업으로의 전환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고 보고되었다.

또한 정부의 스마트 공장 3만 개 육성사업 중 현재까지 7,000개 이상이 완료되었으나 용접공장을 스마트 공장으로 전환한 사례는 거의 보고되지 않고 있어 로봇용접을 지원하는 기술원이 시급히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었다.

글로벌

로봇용접의 전방산업과 후방산업이 공동발전하기 위해 로봇용접기술원이 무엇을 해야 하는 지에 대해서도 논의되었다.

국내에는 다국적 로봇용접 기업들이 활동하고 있으나 용접 관련 데이터베이스, 용접 솔루션 및 시스템 통합 기술의 부족으로 로봇용접의 현장 적용이 원활하지 않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로봇용접 컨설턴트와 프로그래머 및 엔지니어가 턱없이 부족하여 로봇용접의 현장 적용이 지체되고 있는 실정이고 이에 따라 로봇용접 관련 고급인력은 물론이고 현장 프로그래머의 양성이 시급하다고 보고되었다.

글로벌

금속 3D프린팅 산업의 혁신적인 발전이 기대되고 있는 요즈음 대형 금속 부품은 로봇용접으로 적층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고 기계적 성질도 우수하므로 이 분야의 연구개발과 연구인력 확보를 비롯하여 현장 엔지니어의 양성도 시급한 실정이라고 보고되었다.

로봇용접 생산라인을 신규 설치할 때 사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라인작업 생산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으나 로봇용접 시뮬레이션 인력과 용접 데이터베이스가 부족하여 금후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또한 로봇용접 관련 기업들의 사업 분야와 강점을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 상호 협조가 가능한 플랫폼의 필요성도 강조하였다.

한편, 로봇용접기술원의 설립에 대해서는 부산시와 부경대학교에서도 적극적인 지원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