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조합 인력 지원사업, 적극 활용해야

2024-01-24     에스앤엠미디어

국내 중소기업들의 경영환경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 가운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협동조합의 기능과 역할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국내외 경기의 불확실성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등 올해도 내수와 수출 모두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여기에 지속되고 있는 에너지 비용 상승세, 인력난, 통상환경 변화, 친환경 체제로의 전환 등 대응해야 할 현안들도 즐비하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고 현재의 어려운 경영여건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업종별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는 조합 등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공통적인 현안와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선행돼야 한다.

때문에 업종별 조합의 역할과 기능이 다시금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인력과 재정 문제 등으로 인해 대부분의 조합들의 역할이 크게 축소된 상태다. 
철강 비철금속 업계의 중소기업들을 대표하는 업종별 조합들도 현재 유지는 되고 있지만 그 기능과 역할은 크게 줄었고 명맥만을 유지하고 있는 조합들도 상당수다. ‘단체수의계약제도’가  폐지된 이후 사실상 조합의 사업이 크게 축소되면서 인력과 회원사 수 등이 감소된 상태다.

또한 조합의 기능과 역할 또한 변화됐다. 공동구매나 업계의 현안에 대해 대내외에 한목소리를 내고 이를 통해 공동의 권익을 확보하는 역할에 머물고 있다. 사업수익이 사실상 없는 조합들이 대부분이고 그렇다 보니 운영 자체가 어려울 정도로 열악한 환경에 처해있는 조합들이 많다.

특히 조합의 역할과 기능 활성화를 위해 사업 확대 등이 요구되지만 재정과 인력부족 등으로 사실상 쉽지 않은 상황이다. 

현재 중소기업협동조합들의 평균 조합원사 수는 90개 정도지만 상근 직원수는 2.8명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동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조합도 30%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협동조합들 여력 부족으로 인해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사업 다각화나 공동사업 자체를 추진할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조합의 역할이 강화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재정적인 뒷받침과 전문인력 확보가 우선돼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합의 현실을 고려해 정부에서는 지난해 부터 중소기업협동조합 전문인력 채용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협동조합이 공동사업 등을 추진하기 위해 신규 인력을 채용하면 1명당 월 인건비의 70%까지 200만원 내에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최대 2명까지 지원이 가능하다.

이러한 정부의 지원은 실질적으로 조합이 활성화 될 수 있는데 도움이 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대다수의 조합들은 이를 적극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인력부족으로 추진하지 못했던 공동사업이나 친환경 이슈 등의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전문 인력의 확보가 요구된다.

물론 정부의 인력 지원사업은 단기적이라는 점이 사업 확대에 다소 부담이 될 수 있지만 조합원사들의 적극적인 인식 변화와 참여를 통해 조합의 활성화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 

정부도 보다 중기적인 인력지원 방안을 검토해야 하고 조합들은 이를 보다 적극 활용해 다시금 활성화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