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병성 칼럼 - ‘친환경 철강’으로 가는 길에 해결해야 할 문제

황병성 칼럼 - ‘친환경 철강’으로 가는 길에 해결해야 할 문제

  • 철강
  • 승인 2020.11.09 06:00
  • 댓글 0
기자명 황병성 bshwang@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789년 프랑스혁명은 정치는 군주제를 민주제로, 경제는 봉건주의를 자본주의로 변화시킨 획기적 사건이었다. 곧이어 일어난 산업혁명은 장인 조합이었던 동업자 조합체제를 대규모 공장제 공업으로의 전환에 기여했다. 이 산업혁명에서 제일 먼저 등장한 것이 기계였다. 자본가들은 대규모 공장을 건설하고 기계를 도입해 제품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기계는 효율적인 분업과 대량 생산 체제를 가능하게 했다.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는 정비례 관계에 있을 때만 가능하다. 이에 따라 자본가들은 많은 이익을 내기 위해 더 많이 생산하고, 더 많이 판매하고 소비해야 했다. 여기에 필연적으로 수반하는 것이 환경파괴였다. 사람들이 소비하는 대부분의 상품은 자연에서 생산된 1차 원료를 공장에서 가공한 것이다. 상품의 증가는 자연 자원 소비 증가와 맞물렸다. 기술이 발달하면서 이것을 피하는 방법이 등장했지만, 아직 역부족인 상황이다.

우리 업계도 환경문제에 자유로울 수 없다. 굴뚝산업이라는 오명(汚名)을 벗고자 부단한 노력을 기울였지만 여의찮다. 국내 철강업계는 그동안 생산 공정 개선을 위한 기술 개발과 배기가스 저감 등 오염방지 시설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일반인들의 인식을 바꾸는 데는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홍보 부족이 가장 큰 문제다. 한국철강협회가 앞장서서 노력하지만, 부족하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제35회 철강성공전략회의(SSC)에서도 최대 화두(話頭)가 ‘친환경 철강’이었다. 기조연설자로 나선 포스코 최정우 회장은 탄소 중립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했다. 탄소 배출을 피할 수 있는 수소가스를 활용한 철강재 생산과 생산 중에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를 저장해 이를 공업용 원료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 철 스크랩 사용 확대와 부산물 재활용 확대 등을 예로 들었다. 철강 에코 혁신을 위한 제언으로 유익한 연설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리버 스틸 산지브 굽타 회장의 친환경 제철소로 패러다임 전환 계획도 관심을 끌었다. 남호주 기반 제철소의 ‘화이엘라 그린스틸’이 핵심이다. 새로운 제철소는 천연가스에 의해 연료가 공급될 것이라고 했다. 시간이 지나면 화이엘라에 건설 중인 호주 최대 태양광 농장 중 하나인 자체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에서 생산한 녹색 수소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친환경 철강 전환 최초 1차 철강공장이 되어 2030년까지 세계 최대 탄소 중립 철강 생산업체로 도약할 것이라는  포부가 야심찼다.

이처럼 친환경은 글로벌 철강사들이 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이다. 사실 철(鐵)만큼 친환경적인 것은 없다. 무한한 재활용이 큰 장점이다. 슬래그, 더스트, 슬러지 등 철강 부산물의 재활용은 99% 가깝다. 이러한 산업은 철강이 유일하다. 다만, 철강 공정 중 발생하는 배기가스 등이 굴뚝산업 오명을 쓰게 된 원인이다. 하지만 우리 업계는 질소산화물 제거용 촉매환원 기술, 황산화물 제거용 탈황 기술, 고효율 집진 기술 개발에 집중 투자하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선도적 환경 기술 개발의 본보기로 평가된다.

친환경 철강 산업의 구축은 앞으로 우리 업계가 해결해야 할 최대 과제임이 분명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시대 흐름에 맞춰 업계는 생산 공정 개선 기술 개발과 배기가스 저감 등 오염방지시설에 대한 투자가 활발하다. 더불어 친환경 철강 제품 개발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 결과로 이제 철강 산업의 최대 장점은 재활용성과 친환경성이 됐다. 우선 이러한 장점을 적극 홍보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서는 오염산업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벗을 수 없다. 본지와 업계, 한국철강협회가 공동으로 노력해야하는 책임감이 따른다. 

정부의 협조도 뒤따라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특히 철강 부산물은 법적으로 폐기물로 분류되어 있다. 이것을 재활용하려면 까다로운 조건이 따른다. 순환 경제 관점에서 규제의 족쇄를 풀어주어야 한다. 안타까운 것은 더욱 강화된 환경정책이다. 이로 인해 기업이 떠안는 부담은 더욱더 가중됐다. 결국 업계가 탄력적으로 대응해 나가야 하겠지만, 그 어느 산업보다 친환경에 앞장서는 철강업계의 발전을 위해서라도 정부 정책은 현실성 있게 재검토하는 것이 맞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