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총파업… 철강 업계 “속이 바짝바짝”

화물연대 총파업… 철강 업계 “속이 바짝바짝”

  • 이슈
  • 승인 2022.11.29 11:52
  • 댓글 0
기자명 종합 정리=박진철 기자 jcpark@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품목 불문 출하 차질.... 시황 악화 속 엎친 데 덮친 격
육상화물 위기경보 ‘심각’ 격상... 첫 업무 개시 명령 선포

 철강업계의 물류난이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이다. 품목을 불문하고 민주노총 공공운수노동조합 화물연대본부(이하 화물연대)의 총파업에 시달리고 있다. 품목을 막론하고 출하 차질이 발생하면서 안 그래도 시황 악화에 시달리던 철강 업계의 시름만 깊어지고 있다. 

 화물연대의 집단 운송 거부가 지속되면서 상황이 걷잡을 수 없는 가운데 국토교통부가 육상화물 운송 분야 위기경보 단계를 ‘경계’에서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격상한 데 이어 정부는 11월 29일 국무회의에서 화물 운송 노동자들에게 사상 첫 업무 개시 명령을 내렸다. 시멘트 운송 화물차주들이 대상이다.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와 품목 확대를 요구하는 노동자들과 정부의 강대강 대치가 예상된다. 

 

화물연대 페이스북.
화물연대 페이스북.

 

 레미콘과 시멘트 등 셧다운 위기에 처해진 건설업계는 11월 28일 공동 성명을 내고 집단 운송 거부를 즉각 중단하고 즉시 복귀하라고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현재 화물연대 파업으로 건설뿐 아니라 철강과 석유 등 업계 현장에도 피해는 본격화하고 있다.  

 철강업계에 따르면 11월 28일 출하량은 11월 27일 주말 일일 평균 출하량(4만6,000톤)의 47.8%에 불과한 2만200톤이 출하됐다. 

 열간압연강판 유통업계는 화물연대 총파업에 수주한 물량을 운송하는 데 차질을 빚고 있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수요 부진이 확산하는 가운데 그나마 수주한 물량마저 발이 묶였기 때문이다. 

 경북 포항시 남구 오천읍에 위치한 포항철강산업단지와 현대제철과 KG스틸 등이 위치한 당진, 부산신항 인근, 전북 군산 등을 포함해 전국 사업장의 냉연 제품들도 출고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다만, 업체들은 노조 가입이 안 된 외부차량을 섭외하거나 공장에서 자가 소유하고 있는 내부 차량을 활용해 소량 출고를 진행하고 있다.

 제조사 관계자는 “화물연대 파업이 본보기로 이뤄진 포항과 당진, 군산 등은 통제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강관 업계도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제품 출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나마 지난주 우선적으로 출하할 수 있는 물량을 미리 출하해 화물연대의 총파업 영향을 최소화했다. 

 한편, 코로나19 회복 속에 물동량이 증가하면서 각 지역의 물류센터 일감이 늘어났다. 이 때문에 비교적 부피가 큰 철강 제품의 운송을 회피하고 있는 상황이다. 철강 업체들은 화물트럭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보다 운송비를 더 올려야 하는 실정이다. 제품을 운송할 수 있는 화물트럭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납기에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스테인리스(STS) 시장도 수급이 안정화 단계에 진입하고 있는 시점에서 발생한 물류 차질에 우려감을 표하고 있다. 포항제철소를 비롯한 제조업계의 스테인리스 출하에 비상이 발생할 경우 STS 수급 우려가 다시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 

 특수강 업계도 대형 제조사들의 출하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다만, 대형 특수강 업체들은 파업이 예상됐던 기간부터 선제적인 제품 출하로 대응해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조치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럼에도 특수강 업계는 화물연대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제품 출하 부문부터 영향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며 관련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철근 업계 역시 화물차 10할 중 3할의 출하가 멈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제철 인천 공장, 동국제강 인천 공장, 기타 제강사 일부 공장 등에서 출하가 조금씩 지연되면서 출하 적체 물량과 대기 수요가 맞물려 시장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출하 지연에 따른 재고 확보 문제가 12월 초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면서 정부와 화물연대의 강한 대립에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선재 업계도 속수무책이다. 이번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11월 철강재 출하계획 중 절반 이상의 물량이 출하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일부 긴급 배차와 철도·해상 운송도 병행하고 있으나 육송 비중이 대부분인 탓에 출하되지 못한 철강재들이 공장 내 보관창고와 야적장 부지에 쌓이고 있다.

 

 

 업계별로 총파업 실시 전 제품 조기 출하를 통해 야적·재고 물량을 최소화했으나 총파업 기간이 일주일 이상 지속될 경우 피해는 지난 6월처럼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국내 주단조업계도 화물연대 파업으로 인한 물류 차질에 뚜렷한 대응책을 마련하지는 못하고 있다. 특히, 수출 중소기업은 운송 거부가 장기화할 경우 화물 반·출입 지연에 따른 운송비 증가, 해외 거래처 주문 취소로까지 이어질까 우려하고 있다.

 비철 업계 역시 대부분 정상적인 출하가 진행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수출은 거의 중단된 상황이며, 내수 출하는 일부 비노조원 차량을 이용하여 긴급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충분치 않은 상황이다. 그마저도 노조원과의 충돌 우려로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수출 비중이 높은 기업들은 고객사 컴플레인 제기를 우려하고 있다. 과거 화물연대 파업 때도 해외 고객사 상당수가 이탈한 적이 있는데, 어렵게 회복한 고객사를 다시 잃을까 노심초사다. 

 특히, 제조업체들이 모여 있는 수도권 지역의 파업 장기화도 우려된다. 금속 제품 수요가 높은 수도권에서 물류가 마비될 경우 그 피해가 매우 클 것이라는 게 업계의 주장이다.

 한편, 위기경보 단계가 최고 수준으로 정해짐에 따라 관계 부처들은 11월 28일 오전 10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주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화물연대 총파업 사태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11월 29일 국무회의에서는 화물연대에 사상 최초로 업무 개시 명령을 내렸다. 우선,시멘트 운송 화물차주들이 대상이다. 상황에 따라 철강재 등 다른 분야를 포함한 업무 개시 명령이 발효될 수도 있어 철강재와 비철금속 제품 출하가 조금 용이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사상 첫 시도인 만큼 얼마만큼 영향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