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포스코홀딩스·포스코 신용등급 ‘A-’, 무디스도 ‘Baa1’ 결정
전망도 ‘안정적’ 유지
포스코홀딩스, 대규모 유동성·재무 탄력성 확보
이차전지소재사업 ’25년부터 포스코그룹 이익 기여 전망
지난 14일 글로벌 신용평가기관 무디스(Moody’s Ratings)가 포스코홀딩스의 기업신용등급(Baa1)을 유지한다고 발표한 데 이어 24일 S&P(S&P Global Ratings)도 포스코홀딩스의 기업신용등급(A-) 유지 의견을 발표했다. 두 기관은 포스코홀딩스의 신용등급 전망도 ‘안정적’으로 유지했다.
글로벌 신용평가기관의 이번 결정에는 포스코홀딩스가 대규모 유동성을 바탕으로 한 높은 수준의 재무 탄력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과 이차전지소재사업이 2025년부터 포스코그룹의 이익에 기여를 할 것이라는 전망이 반영되어 있다.
무디스는 포스코홀딩스가 최근 철강 경기 악화에도 높은 수준의 투자를 이어가고 있으나, 충분한 자금 유동성이 재무구조를 안정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무디스는 국내 철강산업 선두업체로서 그룹의 시장지위, 프리미엄 제품 중심의 다각화된 제품 구성, 전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비용구조와 탄탄한 자산구조가 포스코홀딩스의 신용등급을 지지하는 주요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S&P는 투자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비용 절감 방안과 자금 확보 노력을 통해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유지하려는 포스코홀딩스 경영진의 전략 방향을 높게 평가했다.
또한 S&P는 철강 원료 가격의 안정화로 인한 철강 실적의 점진적 개선,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에너지사업 수익 증가, 포스코퓨처엠의 고수익 제품 증가 등을 전망하며 향후 2년간 포스코홀딩스의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S&P와 무디스는 사업회사 포스코의 신용등급과 전망도 포스코홀딩스와 동일하게 결정했다. 양사는 포스코홀딩스가 사업회사 포스코의 지분을 100% 보유했으며 포스코가 포스코홀딩스 산하의 주요한 사업회사인 점, 신용도 측면에서 양사 간의 긴밀한 연관성을 고려한 판단이라고 밝혔다.
특히 무디스는 포스코홀딩스와 포스코의 재무구조 신뢰도를 높이 평가해 신용등급 조정 기준을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 대비 조정 총차입금 비율 3.0~3.5배 초과 또는 EBITDA 대비 조정 순차입금 비율 1.5~1.75배 초과에서, EBITDA 대비 조정 총차입금 비율 3.5배 초과 또는 EBITDA 대비 조정 순차입금 비율 1.75배 초과로 완화했다.
이는 기존 포스코홀딩스의 연결 실적이 신용등급 조정 구간에 해당되어 등급이 조정될 수 있다는 불확실성을 제거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로 풀이된다.
한편 포스코홀딩스는 올해 연결 재무목표로 매출액은 78조 원, 투자예산은 10.8조 원으로 계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