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병성 칼럼 - ‘브라보’를 부르는 선(善)한 울림

황병성 칼럼 - ‘브라보’를 부르는 선(善)한 울림

  • 철강
  • 승인 2022.05.30 06:05
  • 댓글 0
기자명 황병성 bshwang@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객석에서 누군가가 일어나 “브라보”를 외친다. 이 소리에 관객들은 일제히 박수로 호응한다. 한 오페라장의 풍경이다. 브라보는 이탈리아어로 ‘잘한다’ ‘좋다’ 등의 뜻으로 외치는 소리다. 우리말로 풀이하면 신남, 칭찬 등의 의미로 사용된다. 이 멋진 단어는 소설 등 창작물에 의외로 많이 쓰인다. 감탄사로 최고 묘사이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간혹 발음이 와전되어 ‘부라보’로도 알려져 있다. 아이스크림 부라보콘’이나 대한민국 해병대의 군가 ‘부라보 해병’이 그 예이다. 스페인 문화권에서는 투우를 관람할 때 관중이 훌륭한 투우사에게 보내는 감탄사에서 나온 말로 영어단어 brave의 스페인어 버전이다. 영국의 유명한 소설가 올더스 헉슬리가 쓴 ‘멋진 신세계(Brave New World)’에서와 같이 긍정적이고 훌륭하다는 의미로도 쓰인다. 

필자는 이 단어의 낭랑한 외침을 아직 생생히 기억한다. 10여 년 전 한 오페라 공연장에서이다. 점잖은 복장을 한 중년의 신사가 공연이 끝나자 객석에서 일어나 손뼉을 치며 “브라보”를 외쳤다. 그 외침 뒤로 관객들의 우레와 같은 박수가 쏟아졌다. 관객들의 호응을 유도한 신사는 행사를 주최한 세아 그룹 이운형 회장이었다. 그 공연은 오페라에 대해 문외한(門外漢)이었던 필자에게 큰 감동을 주었다. 처음 접한 오페라 공연을 관람하며 문화인이 됐다는 뿌듯함에 스스로 자존감이 컸었다.

철(鐵)이 갖고 있는 이미지는 차가움이다. 철강업에 종사하는 사람들도 같은 대접을 받곤 한다. 그 인식을 바꾸는 데 이 회장의 공이 컸다. 철의 차가운 인식의 틀을 문화라는 군불로 따뜻하게 데워서 허문 주인공이기 바로 그다. 2013년 3월 허망히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문화예술에 대한 사랑은 남달랐다. 특히 오페라의 대중화를 위해 수많은 공연을 주최했다. 아낌없는 후원은 지금도 큰 업적으로 회자(膾炙)된다. 많은 사람이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그의 삶을 흠모(欽慕)하는 이유다. 

“이제 당신만 오페라를 알게 된다면, 모든 사람이 오페라를 사랑하게 되는 겁니다.” 세아이운형문화재단의 설립 취지다. 이 재단은 고(姑) 이운형 회장의 뜻을 기려 2013년 8월 태어났다. 재단은 가능성을 가진 영재 및 신진 예술가들에게 더 크게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다양한 클래식 공연의 기획 및 개최로 많은 사람들에게 아름다운 감동을 선사하고 있다. 이 사업은 고인의 유지를 받든 것이다. 예술인들의 열정과 노력의 가치를 돋보이게 하던 생전의 뜻을 이어받았다.

이 같은 취지로 재단이 코로나로 지쳐있는 부산시민들을 위해 고려제강 ‘문화재단 1963’과 함께 ‘세상을 아름답게 하는 음악회’를 개최했다. 5월 13일부터 14일까지 부산 키스와이어 센터(KISWIRE Center) 야외공연장에서 열렸던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공연은 늦은 봄밤을 뜨겁게 달궜다. 이 공연은 철강기업들이 합친 최초 지역사회 대상 메세나 활동이라는 점에서 특별했다. 또한 코로나19 장기화로 문화생활이 어려웠던 시민들에게 잊지 못할 추억과 휴식을 제공한 것에 큰 박수를 보낸다.

지역사회와 함께 숨 쉬고 행동하는 것이 기업이다. 이에 따라 기업의 메세나 활동은 지역 사회를 위한 당연한 봉사이다. 이번 공연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중 하나를 실천한 것이다. 이와 함께 아름다운 세상을 만드는 디딤돌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고 생각한다. 특히 이 공연은 두 철강기업 문화 재단이 공동 주최했다는데 의미가 크다. 타 업체들의 본보기가 될 수 있기에  칭찬이 아깝지 않다.

이 공연은 고인이 된 한 경영인의 열정에서 출발했다. 객석에서 기꺼이 일어나 “브라보”를 외치며 오페라의 대중화를 위해 앞장섰던 노력의 산물이다. 문화에 대한 투자는 철강 1톤을 파는 것보다 더 선(善)한 울림이 있다. 그것이 당장 돈이 되지 않더라도 많은 감동을 남긴다. 그것을 누구보다도 잘 알았던 고(故) 이운형 회장의 업적이 위대한 이유다. 

음악을 통해 세상을 ‘브라보’로 만들고 싶었던 그의 숭고한 뜻은 이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세아이운형문화재단의 역할과 책임이 막중하다. 그룹이 추구하는 ‘세상을 아름답게’ 만들기 위해서는 더욱 그렇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