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계 쿠팡이 되기에는 갈 길 멀다

철강계 쿠팡이 되기에는 갈 길 멀다

  • 철강
  • 승인 2024.02.21 06:05
  • 댓글 0
기자명 손유진 기자 yjson@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철강 이커머스로 떼돈 벌었다는 얘기를 들어본 적이 없다. 코로나가 창궐한 2019년. 시작할 때만 해도 철강계의 쿠팡, 당근마켓과 같은 벤치마킹형 워딩들로 오픈빨들을 잔뜩 세웠는데 여태껏 성공 스토리는 안나오고 있다. 

철강계의 쿠팡들은 잘 있나 싶어 5곳의 철강 이커머스 홈페이지에 들러봤다. 기자의 소감을 한마디로 표현해 보자면, 쿠팡이 되기에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인식을 지울 수 없다. 우선 사업자등록번호가 없어서 회원가입부터 제한되기에 비로그인 상태에 두고 이것저것 눌러봤다. 주문 외거나 재고떨이 상품들, 스크랩 처리 직전인 제품, 강종 스펙만 한 줄 적힌 제목, 해당 이미지는 실제 제품 사진이 아니라는 설명, 제품 위치나 판매처는 동일한 곳들이라 믿음이 안 갔다. 노클레임 조건 판매도 있었다.

감히 말하지만 내 생애 이런 불친절한 쇼핑몰은 처음이다. 파는 사람이 갑이고 사는 사람이 을이 되는 철강업계의 관행이 그대로 녹아든 플랫폼 같다. 사는 이에 대한 불친절함은 여전하다. 가격이 유통가격보다 그리 싼 것도 아니고 외상거래는 안되니 현찰로 결제하던가 카드사에 알아보라는 식이다. 현찰로 결제하면 D/C를 해주는 유통 판매상들도 있는 데 그 쇼핑몰들은 정찰제다. 물건도 알아서 옮겨야 하고, 로켓배송은 애당초 기대하기 어렵다. 한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량도 제한적이다. 줄여준다던 발품만 더 늘게 생겼다.

철강 이커머스를 성공적인 비즈니스로 운영하고자 한다면, 많이 어렵겠지만 판매자 중심적 사고부터 가장 먼저 바꿔야 한다. 성공적인 사례라고 평가받는 중국의 철강 판매 사이트들을 뒤적거려보면 실물 동영상, 제조사 설명, 1:1 채팅, 중량을 속이거나 제품 파손 시 무조건 환불, 24시간 내 발송 등이 눈에 띄었다. 지극히 사용자 중심이면서 B2C 거래와 유사한 모습이었다. UI/UX 편의성과 같은 홈페이지 꾸미기나 정품 물량 확대 같은 것들은 헛발질은 아니었을까. 구매자들에 어떻게 철강업계만의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지 심도 있게 고민해봐야할 때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