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수출기업 10곳 중 8곳, 공급망 리스크 노출, 물류난·원자재價 문제 해결 시급”
공급망 리스크 선제대응 위한 상시 모니터링 체계 강화 필요
우리 수출기업 10곳 중 8곳 이상이 글로벌 공급망 위기에 노출된 가운데 공급망 위기 대응을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지원과 기업의 회복탄력성 강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철강산업과 비철금속산업의 경우 전체 수출 품목 중 공급망 리스크에 가장 취약하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이에 대한 업계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원장 조상현)이 5월 3일 발표한 ‘글로벌 공급망 위기와 우리 기업의 대응현황’에 따르면, 국내 수출기업 1,094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85.5%의 기업이 공급망 위기로 인해 문제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망 위기는 물류난, 원자재 가격 폭등, 주요 물품 수급 차질 등 생산과 교역 전반의 문제로 확산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확산 이후 생산시설 폐쇄 및 지역봉쇄로 상품의 조달・생산 과정이 단절되며 공급망 차질이 가속화되고 있다.
국내 수출기업들의 가장 큰 애로는 물류 지연, 운송비 폭등 등 ‘물류난’(35.6%)이었으며, ‘원자재 가격 상승 및 채산성 악화’(27.8%), ‘특정지역 봉쇄로 인한 피해’(16.9%)가 뒤를 이었다.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원자재 가격상승에 따른 채산성 악화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규모가 클수록 지역 봉쇄 및 수급 리스크를 많이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기업의 지역 봉쇄(18.8%) 및 수급 차질 경험(14.1%) 응답 비중이 중소·중견 기업 대비 높은 것은 해외진출 비중이 높고 거래 대상국이 다양한데 기인한 것이며, 중소기업에서 원자재 가격상승에 따른 수익성 악화(28.9%) 응답률이 높은 것은 원가 상승분을 판매 가격 에 반영하기 어려운 시장 여건에 기인한 것이다.
물류난은 대미 수출기업에서, 특정지역 봉쇄는 베트남을 포함한 동남아·중남미 수출기업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경험했다. 미국의 주요 항만인 LA/롱비치항의 극심한 항만 적체로 국내 대미 수출기업 다수가(36.8%)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 봉쇄 경험은 코로나로 강력한 봉쇄를 시행한 베트남 등 동남아와 중남미 대상 수출기업에서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채산성 악화 우려 응답(31.1%)이 실제 경험(27.8%)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수출기업들이 러-우 전쟁, 대러제재 및 수출통제 등으로 원자재 가격의 고공 행진 지속을 예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장기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공급망 교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우리 기업들은 핵심 품목의 대체선 발굴(35.9%) 및 재고 확보(17.8%)로 위기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대응전략이 없거나(12.4%), 일시적인 생산 감축 및 중단(15.3%)으로 대처하는 등 공급망 위기에 실질적인 대응이 어려운 기업도 전체 4곳 중 1곳에 달했다.
특히, 철강/비철금속에서 일시적 감축·생산 중단(17.4%) 및 대응책 없음(17.4%) 응답 비율이 모두 높아 공급망 리스크에 가장 취약한 품목으로 나타났다.
공급망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정부 지원으로는 가장 많은 기업들이 ‘물류난 완화’(39.4%)를 꼽아 물류 지연 해소를 위한 선복 확보, 운임비 등의 지원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선제적 위기관리 및 대응을 위한 ‘공급망 조기경보시스템 운영’(20.8%)에 대한 수요도 컸다.
무역협회 박가현 수석연구원은 “최근의 공급망 위기는 국제 정세, 자원 민족주의, 기후변화 등이 복잡하게 얽혀있는데다 산업에 미치는 영향도 점점 커지고 있다”면서 “공급망 위기 극복과 기업의 회복탄력성 제고를 위해 정부는 물류난 등 문제 해결에 힘쓰는 한편, 상시 모니터링 강화를 통해 기업들이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