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브라질·남아공·캐나다·인도·우크라이나 수출 모두 증가, 스웨덴은 감소 中 감산 조치에 하반기 수요 줄며 올해 전체 수출 전년比 보합, 가격은 하락 예상
청정 에너지 부문 2조 달러, 화석연료 부문에 1조 달러 투자, 에너지용 강재 수요 증가 예상
“中·선진국 경기 둔화에도 인도 등 신흥국 인프라 부문이 철강 소비 증가 주도”
“현재 전 세계 배출량의 4분의 1에 적용, 2022년 탄소 거래 수익 1,000억 달러 ㄷ라해
GMK 진첸코 CEO “하반기 中 제조업, 인도 인프라 부문이 철강 수요 견인 예상”
2025~2026년 성장률 2.7%로 상승, 팬데믹 이전 10년 평균보다는 하락
지역별 中·EU·튀르키예·韓·日·중남미 수요 약세 美·인도·아세안·MENA 수요 강세 中 밀어내기 수출 지속되며 공급 초과 상황, 무역 갈등 심화에 봉형강 무역 지역화 전망
中-印尼, 생산량 대폭 늘릴 전망...세계 생산량 중 72% 과점 석유화학·에너지·인프라용 수요 증가 예상...車·중공업용은 부진 전망
국제재활용국 BIR 통계연보 분석 결과 대다수 조강 생산·철스크랩 동반 감소 韓 조강 생산 증가에도 철스크랩 소비↓
“표준화된 탄소 배출 측정 기준 및 합의된 탄소 절감 인증 지침 제정해야” “WTO가 철강 무역 공정성 보장하고, EU의 CBAM과 같은 새로운 무역 규칙 필요”
“선진국 및 중국 경기 둔화에 봉형강 수요 약세 지속, 中 수출 증가에 무역갈등 확대 전망”
전년比 21.4% 증가해 성장세는 둔화, 中·美·유럽이 전체 판매량의 80%가량 점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