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방열 소재 대비 2.6배 향상된 열전도도 및 친환경·저비용 공정 구현 수입에 의존하던 방열 인터페이스 재료 한계 뛰어넘고 국내 기술 자립 기대
9월 26일 여의도 FKI홀 컨퍼런스센터 3층 다이아몬드홀에서 진행, 최신 트렌드 등 공유
란타넘·망가니즘계 합금 등 활용해 소재-부품-모듈 전주기 자기냉각 기술 개발 기존 가스 냉매 기반 냉각기술의 환경 문제 해소 및 친환경 고효율 대체 기술 시장 확대 기대
전기연구원 권익수 박사팀, ‘열-전기-기계적 복합 시험평가 플랫폼’ 세계최초 개발 육지보다 훨씬 가혹한 바닷속 조건에서 전력케이블의 장기 신뢰성 확보 기대
극한 환경용 금속 복합소재·부품 개발 기술역량 강화 및 산업 생태계 조성
납을 사용하지 않은 실리콘 기반 초음파 패치로 기존 장치보다 뛰어난 성능 입증 대량 생산이 가능한 친환경 기술로 원격 진료·개인 헬스케어 시장 확산 기대
46시리즈, 원통형 배터리 기대수요 견인 전망 동국산업, 니켈도금강판 신규 공급사로 시장참여 3대 배터리 제조사 품질인증 진행, 소재 국산화 박차
고품질 그래핀 제조 및 분산 기술 통해 차세대 음극 소재인 고용량 실리콘 함량 증가 전기차 배터리·ESS·고성능 AI 반도체·서버 등에 활용 기대
세아창원특수강, 반도체·에너지산업용 Ni-Cr-Mo계 소재 국산화 개발 세아베스틸, 치형 베어링용 고청정·고강도 소재 개발
이차전지 산업 도약…규제·인프라 대응 시급 차세대 배터리 경쟁 심화, 정부·산업 투자 전략 재정비
미세다공성 구조로 저온에서 CO2 고효율 분리 길 열어
생산 방식 및 전력망 사용별 환경성&경제성 비교…알루미늄·유리/탄소 섬유보합재와도 비교 “수소환원+재생에너지 사용이 가장 환경적이지만 ‘경제성’ 떨어져” 비용과 환경 간 균형 지적
‘수소에너지 900bar급 저장/방출 대응용 합금 제조 및 부품화 기술 개발’ 과제 진행
세아창원특수강 등 3사 장수명 금형공구강·고청정 내마모강·고성능 특수형강 관련 성과 발표 포스코 등 8개사는 포스터 발표, 산업기술 R&D·국가연구개발사업 관련 회계 제도 등 설명
각형강관 및 전용 볼트 조립체 이용해 프레임 구성, 외장재 설치용 내진 성능 우수
배터리 기술 혁신 가속화…글로벌 시장 경쟁 심화 전기차 시장의 급성장, 국내 배터리 산업 성장 견인 리튬, 니켈, 코발트의 공급망 안정성 확보가 관건
세계 최초 광물탄산화 기반 이산화탄소 포집량 산정 기준 국제표준기구(ISO)에 제시
에너지 저장 장치와 유기물 변환 촉매에 활용해 탁월한 성능 달성
세아창원특수강, 초내열합금 국산화 기술 확보, 우주항공·가스터빈 소재 공급 안정화 기대 세아항공방산소재와 특수합금·STS·알루미늄 소재 공급하며 시너지 극대화
고에너지 밀도 전지의 장수명화와 고신뢰성 구현 가능해져
고성능·저원가·친환경 배터리 위한 소재 연구 활발 무코발트·리튬 금속·전고체 기술, 차세대 배터리 기술 부상
총 4부로 구성, 8개 항목에 대한 최신 통계자료 정리
리튬 저장 가능한 삼원계 화합물 코팅 후 전사하는 ‘중간층 기술’을 해결책으로 제시 실용화 수준의 파우치셀 전고체전지 제작 및 성능 검증, 국제 학술지 논문 게재
물·극성 및 비극성 용매에 모두 분산, 미래 모빌리티·스텔스 소재·이차전지 등 응용 확장성 기대
전기차·ESS·항공우주·반도체 등 고부가가치 시장으로 확장 본격화
기존 소재 대비 전류밀도 5배, 내구성 2배 향상, 해수 수전해 실용화 앞당겨
다원소 합금 촉매의 성능 예측하는 알고리즘 설계로 기존 귀금속 촉매 뛰어넘는 촉매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