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제품·냉연도금·봉형강류 수입 증가, 소재·아연도금강판·강대·강관류 수입 감소 국가별 캐나다·브라질·한국·일본산 수입 감소, 5대 수입국 중 멕시코만 유일하게 증가
2023년 한국산 스크루 및 볼트 대미 수출, 전년比 약 5.93% 감소, 미국 내 점유율은 상승 건설, 자동차, 항공 등 수요산업 동향에 큰 영향 받아 면밀한 모니터링 필요
7월 1일부터 6개 철강제품에 25%, 6개 알루미늄 제품에 10% 관세 재부과
캐나다철강생산자협회 “최근 10년 간 철강 수입 2배 증가, 가능한 수입 규제 즉각 도입해야”
철강·알루미늄 관세 25%로 인상, 배터리·전기차·태양전지·반도체 관세도 대폭 인상
경기 둔화 및 조강 생산에 부진에 따른 수요 감소, 공급망 재편에 수입 감소
북미 케이블 트레이 제조 역량 확대, 스틸 와이어 바스켓 트레이 등 생산 예정
최근 멕시코 관세 인상 조치 및 철강 수입품 관련 신규 규정 분석, 원산지 규정 강화 예상
올해 상반기 할증료 30% 초반대에 묶어...헤인즈 인터내셔널 인수 계획
멕시코 비FTA 국가의 철강 수입품에 20~50% 적용, 브라질은 11개 품목에 25% 적용
반제품·소재·냉연도금·선재류·구조용 강재 수입 증가, 강관류·철근·석도강판 수입 감소 국가별 캐나다·멕시코·일본산 수입 감소, 한국·브라질은 증가
경합주 펜실베니아에서 전미철강노조 대상 연설, US스틸 인수 반대 등 재확인
역내 철강 소비 5.4% 증가에도 중국산 수입 증가에 철강 생산 감소 및 무역 적자 확대
철광석·철스크랩·선철·합금철 등 제강 원료에는 미적용, 철강 완제품에만 적용 미국의 중국 우회 수출 견제에 중국산 반제품 및 소재 사용한 완제품 수출 감소 예상
러시아산 알루미늄·구리·니켈 수입 금지 및 금속 거래소·장외 파생상품 거래 금지 추진
中 감산에도 러시아 우회 수출 및 북미·EU 수요 감소에 수출 감소
튀르키예 7%↑·멕시코 12%↓ 방글라 64% 급증 3위권 우뚝
의결권 자문사들 주주들에 인수합병 찬성 권고, US스틸도 거래 완료 의지 밝혀
반제품·도금재·건설재·유정용강관 수입 증가, 소재·냉연·환봉·선재류·송유관·형강 수입 감소 국가별 캐나다·멕시코·한국·일본산 수입 감소, 5대 수입국 중 브라질만 유일하게 증가
수소환원제철 등 6개 철강 프로젝트, 제련소 건설 등 5개 알루미늄·금속 프로젝트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