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제품 수출·수입 전년比 33.85%, 5.62% 감소
ITA "2022년 38만400톤 생산…전년比 0.3%↑" 中 리오프닝 기대 불구 인니 및 남미 생산 유동적
지난해 11월 이후 새해 첫 인하 철근 부진·튀르키예發 약세 영향
전주比 17.6달러↑…지난해 7월 이후 고점 US스틸 등 HRC 인상으로 추가 강세 전망
역내 프로젝트 투자 확대 및 수출국 경기 회복에 2023년 명목 철강 소비 1.7% 증가 전망
2024년 소비 1.6% 증가, 2023년 철강 수요산업 생산 전년比 0.6% 감소 예상
주요 수출국 경기 둔화에 크로뮴 계열 합금철 수출 감소 中 감산 조치 및 대러시아 무역 제재에 망가니즈 및 실리콘 계열 합금철 수출은 증가
국제 원료 시장 왜곡, 스크랩 가치 하락에 따른 산업 위축 우려 제기
“경기 침체 우려는 다소 과장, 수요 측면에서 상승 요인 많아”
올해 증가로 시작…전년比 21.3%↑ 예년 대비로는 낮은 수준
조강 생산 전년比 12.9% 감소, 소비·수출·수입 각 전년比 2.6%, 23.5%, 3.6% 감소
HR 200위안 인상 카드… 품목별 100~300위안 ↑ 안산 등 지역별 가격 정책…관내 철강 소비 촉진 차원
수요 개선 기대에 톤당 640달러 오름세 유지 저가 中産 빌릿 시장 노출 등 인하 요인 작용
무협, ‘중국의 리오프닝에 따른 우리 경제 영향 분석’ 보고서 발간 “中 내수시장 공략 및 RCEP 활용 등 중국 리오프닝을 수출 확대 기회로 적극 활용해야“
미, 지난해 총수출 1,748만톤 2년만 감소 인도, 점유율 대폭 확대…10%대 안착
전력 및 가스, 물류 인프라 파괴로 정상 가동까지 상당한 시일 소요 예상
2개월 만에 400계 인하...엔달러 환율 하락과 수요 부진 반영된 듯 몰리브데넘 공급 부족 및 가격 강세에 316L 할증료 ‘5만엔’ 인상...“수급 불안정 계속될 듯”
무협, ‘美 의회 리더십 변화와 공화당 주도 하원의 통상 정책 방향 보고서’ 발간 중국과의 전략적 경쟁 사안을 전담하는 중국 특별위원회 설치…대중 견제 강경해 질 듯
2022년 총수출 174만톤…6년래 최저 지난해 베트남 수입 44.6% 급감 영향 EU 이어 호주도 올해 수출 억제 물꼬
전 거점·등급 2,500엔↑ 주요 거점 H2 5만3,500엔
수출 단가 전년比 보합, 중국·미국향 수출 증가로 12월 수출 증가 美·아세안 인프라 투자 확대, 中 GDP 성장률 회복으로 수출 반등 예상
카데미르(Kardemir) 제철소, 빌릿 2만5천톤 내수 판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