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이하 초소형·고경도 세라믹 비드 제조 기술 국산화 기대
현대로보틱스와 협업…스마트 배관제작공장 출하식 세계 최초로 '배관스풀 용접 핵심공정' 완전 자동화
경제적인 대형 선박의 고망간강 LNG 탱크 제작 기술 확보
독자적인 파라미터 세트와 가공 후 열처리 이용해 고기능 로켓 부품 출력 가능
기존 라디칼 대비 폐수정화효율 5~7배↑, 촉매가격 30%↓
대기오염물질 비산배출 설치 대상 포함 이동식 측정차량과 드론 활용으로 감시
지난해 매출의 39%...구리선 대비 낮은 가격으로 경쟁력 확보
두산중공업-RIST와 ‘청정 암모니아 가스터빈 분야 연구개발 업무협약’ 체결 세계 최초로 암모니아 분해한 혼합가스 연소해 터빈 가동하는 발전기술 개발 추진
초미세 불량 검출의 신뢰성 향상, 다양한 자동화 공정 라인에 적용 가능
전극 전처리 용액을 활용해 흑연-실리콘 혼합소재 초기효율 100% 달성 음극의 고용량 실리콘 함량 50% 이상으로 증가 가능
열연AI스마트센터 준공, ‘인공지능·IoT 활용’ 열연공장 설비 원격제어 전(全)공장 지능형 자동화 달성에 총력...열연 全공정에 先도입
세라믹, 촉매, 고분자 등 소재 분야 연구에 디지털 플랫폼 적용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신기술 기반 소재 R&D 환경 앞당긴다
생기원 3D프린팅제조혁신센터가 시제품 제작, 항우연 성능평가 마쳐
제조업 공정 혁신, 우수 인재 양성, 일자리 창출 등 지역 경제 활성화 목표
타 제품 대비 사용률·편의성 압도적...MIG·MMA·TIG 지원
실제 태양광 환경에서 인공광합성 시스템 구현으로 실용화 가능성 제시
6월 29일~7월 27일 3회에 걸쳐 진행, 30분씩 2개 세션으로 구성
이알지 등과 함께 리튬 회수 위한 타당성 연구 수행, 하반기 현지 방문 일정 등 협의
2040년까지 탄소 중립 목표 점결탄 대신 전기·수소 활용
일본 수입 의존하던 가스열교환기 튜브 ‘국산화’ 창신특수강과 손잡고 미래 먹거리로 준비 중
수입에 의존하던 고경도 강갑 판재 ‘국산화’ 내마모성 부품 및 구종용 부품개발에도 활용 계획...국내 철강 기술력 향상 ‘기대’
제품 형상에 따른 자유로운 냉각유로 설계 및 적용 기술로 다양하고 복잡한 형상의 사출금형 제작 가능
영국 유수 과학지에 표지 논문으로 게재 수소차 등 미래 수소산업 발전에 STS 적용 확대 가능성 높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