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316 수출 400달러 올려 내수 1만2,000대만달러↑
내년 2월 선적분 톤당 595달러(FOB) 계약 불황 타개할 신(新)시장 개척으로 이어질까
韓 판재 수입 시장 점유율 4위이나 2022년 점유율 급감, 회복 위한 대안 마련해야 철강업계, 세관 규정과 면허 및 허가 신청에 자격 갖춘 대행 회사와 협력 필요
600mm 이상 STS 판재 수출 전년比 1.2% 증가, 600mm 미만은 37.2% 감소
16개월 연속 전년比 감소세 1~11월 수입 31.4%↓
구체적 시행일정 아직 미정…세계 공급량 16% 부족 우려
세계 경제 둔화에 2023년 철강 소비 및 생산 모두 위축 전망
말레이시아 및 필리핀 프로젝트 지연, 베트남은 4분기 고로 설비 6개 가동 중단
"원료價 하락에도 에너지 상승분 반영" H형강 수출 가격은 60달러 하락
코로나19 이후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개시되면서 밸브에 대한 수요 급증 필요 인증 취득 및 주요 경쟁국 대비 차별화된 경쟁력 필요
1~10월 철스크랩 수입 전년比 6.6%↓ 올해 291만톤 예상…지난해 309만톤
아세안 철강업계 “세계 경제 불확실성 지속에 철강 수요 확대 여부 불투명” “SEAISI 전망치, 역내 및 주요 수출국 경제 상황 고려할 때 지나치게 낙관적”
10월 조강 생산 전년比 19% 감소…제품 판매 42% 급감 이달 고로 4기 중단 예정…내달 추가 정지 계획
10월 30만3,000톤 전년比 20.7% 줄어 15개월 연속 축소… 올해 총수입 400만톤대 예상
자국 투자 유치 및 부가가치 창출 목적..금지 시기는 특정없어 주석봉·분말 등 주석 성형, 금속 화학 산업 육성 목적 올해 주석 수출 환경 악화된 점 수출 금지 배경으로 꼽혀
제조업 성장 및 중국과의 공동 인프라 투자 확대로 당분간 높은 수요 지속 수요 증가율 대비 생산 증가율 부족으로 수입 수요 증가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