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 기술지원으로의 전환과 기업 접근성 향상을 통한 선순환 구조 확립
광전극, 촉매,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등 보다 넓은 범위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 기대
하윤철 박사 및 박철민 교수팀, 높은 반응온도에서의 황의 증기압 상승 난제 극복 고체전해질의 가격경쟁력 및 품질 향상 기여, 국제 학술지 표지논문 게재
반 고체형 겔 전해질 개발로 집전체부터 패키징까지 배터리 소재를 자유롭게 인쇄 사물화 인터넷, 센서, 의료삽입형 기기의 초소형 에너지원으로 사용 기대
탄소중립 기술 글로벌 주도권 확보를 위한 산·학·연 협력방안 논의
연료전지 상용화 문제 해결 및 탄소중립 위한 수소경제 구축 앞당길 것으로 기대
기존 대비 장비 구축비용 저렴하고, 사용 용접재료 사용으로 경제성 갖춰
미래기술교육硏, ‘자원 재순환을 통한 희소금속 회수 방안 세미나’ 개최
‘2023 드론 쇼 코리아’에서 탄소섬유프린팅 등 다양한 소재 및 기술 선보여
탄소 배출 저감 위한 정부 과제 참여 계획… 초고속 전기로 연구로 탄소 배출↓
3DFIA의 3D프린팅 네트워크와 IIACI의 항공우주 전문성 연계
저탄소 기술 개발과 고부가 제품 위주 고도화 철스크랩 체계적 관리... 보호무역 장벽 대응 강화
전 산업 분야로 양산 사례 본격 확대, 2024년까지 7배 규모로 팩토리 확장 예정
총 12억원 규모 매칭 펀드 조성, 이차전지·수소·원자력 등 국가전략기술 분야 연구 협력
‘증산발전 소자’로 전력 생산해 바닷물 전기투석으로 담수 및 리튬 생산
리튬이온 배터리 소재 박막화로 고집적·고신뢰성 인공지능 반도체 소자 구현
내진 성능 철근연결 커플러 개발 용접 방식 커플러, 고층 건물 적합
실제 압력용기용 소재보다 연성-취성 천이온도 70도 낮춰 안전성 향상
증강현실 기반 내비게이션 구현 가능해져 AR 기기의 소형화 및 범용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
1월 태국 업체 2곳 철근 KS 인증 취득 작년 해외 업체 철근 KS 인증 증가세
한국주강·현대중공업·SFS 컨소시엄 구성...3D 프린트로 선박용 주강품 생산 제조 비용 및 제작 시간 ‘단축 효과’ 확인
재료硏, 파인텍에 ‘압출형 한외여과 세라믹 분리막 제조 기술’ 이전
타이타늄 합금 블레이드 제조 원가 획기적으로 낮춰 원자력 기술을 비 원자력 산업에 적용하는 스핀오프(Spin-off)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