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사와 정부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철강사와 정부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 철강
  • 승인 2011.07.21 16:08
  • 댓글 0
기자명 에스앤앰미디어 hyjung@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본지는 그동안 철강산업의 패러다임이 크게 변화하고 있음을 누누이 강조해왔다.

  그 변화의 요체(要諦)는 한마디로 공급량의 증가다. 철강 시장이 공급자 위주에서 수요가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이런 변화는 철강사들에 총체적 어려움으로 다가오고 있다. 팔기 위한 아이디어와 노력이 없으면, 또 경쟁사와 차별화하지 않으면 그야말로 매출을 확보하는 것 자체가 어려운 시대로 빨리 진입해 가고 있다.

  그 원인은 무엇보다 제품별 생산능력의 확대다. 열연과 후판 같은 경우 과거 1~2개 업체만이 공급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본격적인 경쟁체제로 전환하고 있다. 철근과 같은 기존 경쟁 제품은 생산능력을 경쟁적으로 확충하면서 가동률이 50%를 넘기 어려울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올 정도다. 컬러강판 등 냉연판재류와 고탄소강, 특수강봉강, 선재 제품 등 거의 모든 제품에서 공급능력 증강은 계속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여기에 중국, 일본 등 수입재의 시장잠식도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수입 관세가 없어진 이후 그들 제품이 우리보다 불리할 것은 거의 아무것도 없다. 특히 일본이나 중국의 철강재 수출전략은 저가(低價) 전략이다. 이미 수입재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우리의 경우 저가 수입재는 결국 국내산 가격의 걸림돌로 작용하게 된다. 이는 곧 수익성의 악화를 의미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우리 철강업계와 정부의 대응방법을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우선 기업은 공급능력 확대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물론 단순 생산능력 확충 투자가 아니라 생산성 향상과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경쟁력 강화 투자가 필수적이다. 여기에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투자와 더불어 신수요 창출을 위한 투자가 병행돼야 한다.

  시장을 확보하는 자만이 생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관련해서 진정으로 수요가의 지속적인 선택을 받을 수 있는 마케팅 전략과 활동이 필요함은 물론이다. 더불어 낮은 가동률에서도 이익을 확보할 수 있는 저원가조업(低原價操業)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두 번째로 정부의 역할이다. 정부는 무엇보다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측면에서 안내자와 조정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 물론 과거와 같은 산업 및 개별 업체에 대한 직접적인 개입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산업 전반의 흐름에 대한 신호를 통해 개별 업체가 변화해야 할 방향을 잡아주어야 한다. 그러한 안내자, 조정자 역할의 대표적 성공사례는 바로 특수강봉강 부문에서 품종 전문화 체제를 구축시켰던 세아베스틸과 포스코특수강의 경우다.

  경쟁력이 낮은 단순 설비 투자는 막아야 한다. 대표적으로 부실업체의 비경쟁 설비가 다시 돌아가는 것은 안 된다. 또한, 수입재가 국내 시장을 흔드는 캐스팅보드로 작용하도록 방관해서도 안 된다. 이를 위해서는 세부 품목별로 수입 동향을 제시해줘야 한다. 수입모니터링 제도는 어떤 방법으로든 공감대를 찾아 제도화해야 한다.

  변화된 시대에 철강 기업과 정부가 올바른 방향의 노력을 다할 때 철강산업은 고비를 넘어 생존과 성장을 구가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