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2] 포스코, 탄소중립 브랜드 ‘그리닛’으로 2050 탄소중립 선도

[특집2] 포스코, 탄소중립 브랜드 ‘그리닛’으로 2050 탄소중립 선도

  • 철강
  • 승인 2023.01.30 10:30
  • 댓글 0
기자명 박재철 기자 parkjc@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철강 기술·공정·수소 통합한 탄소중립 마스터 브랜드 ‘그리닛’ 론칭

탄소중립 시대 철강산업은 큰 도전에 직면해 있다. 외부적으로는 지구 온난화 위기 속에 시장과 고객의 저탄소 제품에 대한 요구가 매년 높아지고 있고, 내부적으로 제철공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줄이기 위해 새로운 기술 개발과 대규모 설비투자가 요구되고 있다. 수십 년간 지속해 온 제철공법을 설비부터 기술, 원료에 이르기까지 저탄소 체제로 대전환 해야 하기 때문에 철강사의 생존이 탄소중립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소재 중 하나인 철강의 탈탄소화는 필연적인 과제다. 글로벌 철강기업들이 앞 다퉈 2050 탄소중립 달성 계획을 발표하고 있지만, 기존 석탄을 활용해 철강을 생산해오던 민간 기업들이 혼자만의 힘으로 짧은 시간 내에 가시적 성과를 이루어내는 것은 매우 도전적인 일이다. 

유럽,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 국가에서는 이미 2000년대부터 국가와 기업이 힘을 모아 탄소중립 프로세스를 검토하고 있고, 국내 철강업계 또한 탄소중립 달성 방안에 대해 정부 부처와 머리를 맞대고 있다. 미래를 위한 긴밀한 협력이 필요해졌기 때문이다.<편집자주> 

포스코는 지난해 11월 1일 포스코의 2050 탄소중립을 대표하는 친환경마스터 브랜드 '그리닛(Greenate)'을 론칭했다.

철강, 기술·공정, 수소사업 통합한 탄소중립 마스터브랜드 ‘그리닛(Greenate)’ 론칭

포스코는 지난해 11월 2일 글로벌 친환경 산업 추세에 맞춰 고객과의 비즈니스 파트너십을 강화하고자 개최한 ‘친환경소재 포럼 2022(Green Materials Forum 2022)’에서 아시아 철강사 최초로 선언한 2050 탄소중립 달성 의지를 대표하는 마스터브랜드 ‘그리닛 (Greenate)’을 론칭했다. 

탄소중립 마스터브랜드 ‘그리닛(Greenate)’은 그린(Green)이 되게 하다(-ate) 라는 의미의 합성어로, 녹색 지구(Green Planet)를 만들어 나가겠다는 포스코의 의지를 담은 이름이다.  회사 차원의 탄소저감 활동이 지속 확대되고, 고객·투자·기관 등 이해관계자들로부터의 탄소저감 활동 문의와 요구가 점점 커짐에 따라, 포스코의 탄소중립 노력과 방향성, 성과를 집약하여 직관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종합 브랜드의 론칭 필요성이 대두됐고, 마침내 2022년 11월 탄소중립 마스터브랜드인 ‘그리닛(Greenate)’을 출범하게 됐다.

탄소중립 마스터 브랜드 ‘그리닛(Greenate)’은 ‘Steel’, ‘Tech&Process’, ‘H₂ Innovation’ 의 3개 카테고리로 구성된다. 먼저 ‘Greenate Steel’ 은 철강의 생산 과정에서 탄소발자국을 저감한 Footprint 최소화형 제품과 철강의 사용, 폐기에 이르기까지 전주기(LCA)에서 탄소발자국을 줄이는데 기여한 Handprint 향상형 제품으로 나눌 수 있다. 

‘Greenate Tech&Process’ 는 포스코의 저탄소 철원 투자 및 철강기술, 재생에너지 조달, 그리고 수소환원제철과 관련된 각종 기술개발 및 투자활동 등 저탄소 철강 생산을 위한 모든 노력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Greenate H₂ Innovation’ 은 수소 관련 포스코 그룹의 활동을 묶어 2050년 700만 톤 수소 생산 목표 달성을 위한 활동을 포괄하는 체계로 구성된다. 

▲ 그리닛(Greenate) ‘Steel ’

그리닛 스틸은 철강 생산부터 고객의 철강 사용·폐기 등 철강의 생애 전과정에 이르기까지 탄소발자국 저감에 기여한 제품을 뜻한다. 세부적으로 Footprint 저감형과 Handprint 향상형 제품으로 나뉜다. Footprint 저감형 제품은 철강 생산 과정에서 탄소배출을 저감을 위해 스크랩 30% 이상 재생원료를 활용하거나 신재생에너지 전력 사용, 저탄소 연원료 적용 등 탄소저감 제조기술을 적용해 생산한 강재 등이 포함된다. 

Handprint 향상형 제품은 철강의 사용 및 폐기 등 고객의 사용주기 관점에서 탄소자국 발자국을 줄이는데 기여한 강재로 철강재 대비 생산공정에서 탄소 배출이 많은 알루미늄, 시멘트 등 경쟁재료를 강재로 대체했거나 풍력·태양광·수소 등 저탄소산업 용도로 적용, 자동차 연비향상에 기여하는 친환경차용 소재 등이 해당된다.  

▲ 그리닛(Greenate) ‘Tech&Process’

그리닛 테크 앤 프로세스는 저탄소 철원 투자, 수소환원제철 공정 기술 등을 포함한다. 먼저 포스코는 저탄소 철원인 HBI(Hot Briquetted Iron) 확보에 나섰다. 지난해 6월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호주의 자원개발 기업 핸콕(Hancock)사와 광산개발 및 HBI 사업에 대한 전략적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고, 서호주 항구 도시 포르헤들랜드에 HBI 생산 플랜트 건설을 추진한다. 

또한 글로벌 리딩 철광석 공급사인 발레(Vale)사와도 저탄소 HBI 생산 추진을 위한 공동 연구 업무협약을 맺었다. 그리고 포스코는 석탄과 철광석을 반응시켜 탄소를 배출하던 고로 공정제철 방식을 벗어나기 위해 파이넥스(FINEX) 유동환원로 기술을 바탕으로한 수소환원제철 하이렉스(HyREX) 기술을 2030년까지 상용화 가능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 그리닛(Greenate) ‘H₂ Innovation’

그리닛의 H₂ 이노베이션은 CCUS 사업과 관련업체 투자 등 2050년까지 700만톤의 수소 생산을 위한 포스코그룹의 활동을 말한다. 포스코그룹은 포스코의 수소환원제철과 포스코에너지의 발전 사업 자체만으로도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수소 수요가 발생하는 기업이다. 2050년 수소 생산 700만톤 중 포스코그룹의 내부 수요는 500만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중 수소환원제철용은 370만톤, 수소발전용은 130만톤으로 전망된다.

이에 포스코그룹은 ▲수소환원제철용 수소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친환경 수소 발전 연료로의 전환을 선도하며 ▲국내·외 산업용 수소 수요를 개발·대응하는 것으로 수소사업의 전략 방향을 설정했으며, 안정적인 내부 수요를 바탕으로 경제적인 수소 생산 및 운송 체제를 구축해 외부 판매까지 연결하는 수소사업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