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판재류 유통價 상승세 ‘시세 차익 노려’ 소수 여력 있는 업체들 위주...전체 수급에 영향 미미할 듯
제품 주문 넣고 세 달 가량 기다려야 높아진 가격에 공사 포기하는 사태도 발생해
7월부터 5인 이상 50인 미만 기업도 적용 지난해부터 준비했던 업체들도 적용 쉽지 않아
재고는 없고 수익도 기대치에 못 미쳐 실수요업체, 가격 인상에 어려움 호소
코일 매입價 및 수입價 상승·수요 풍족·재고 부족 “매주 가격 급등” 단기간 급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논코킹 시스템으로 실리콘 오염 문제 해결 글라스울 단열재에 컬러강판, 알루미늄 프레임 사용으로 화재에도 강해
제조업체 인상분 적용 총력 수급 불균형, 중국산 수입재 유입 감소 등 호재로 작용
미뤄졌던 공사 연말에 몰려 컬러강판 부족 현상에 수요 대응 어려워
제조업계 실수요 위주 롤 운영 ‘빡빡’ 대형유통업계 신규 주문 줄이기 ‘여전’
내진철근 가공, 톤당 1만5,000원 할증료 관리 및 보관의 어려움과 생산성 저하와 로스율 문제
주문해도 대기기간 길어 중국산 수입재도 많지 않아 가격 인상 소식에 가수요까지 나타나
대형 업체들에 일감 쏠려 소재 가격 상승에 수익률도 걱정
수입價 강세·원가부담 증가 ‘원인’ 유통업계도 12월 판매價 인상 추진
중국 판재류 가격 강세 불구, 약세 두드러져 유통업계 10월 물량 폭탄에 불만 “마지막달 수익성 챙기겠다”
한국GM 이어 기아차도 파업 수순 한국GM 철수설까지 나와 불안감 증폭
컬러강판 가격, 8월부터 상승 지속 MDI, 가격 급등에 구하기도 어려워
공급가격 매달 인상 ‘적자 유통 만회 필요’ “가을철, 열연 재고 확보 수요 다시 증가할 것”
1~2차 유통 인상 대열 동참 수도권 코로나19 변수 ‘지방 영업 강화’
우레탄 원액 가격 급등에 수급 불균형 수주 받은 물량에 대해 적자 불가피
톤당 3만~4만원 인상 적용해야 전체적인 분위기는 나쁘지 않아
브라켓과 스크류 볼트 복식 체결로 인장력 높여 태풍 피해 지역에 브라켓 무상 제공
제조업계, 톤당 5만원 수준 인상 유통업계, 적용 노력하겠지만 변수 존재
상반기 實가동률 ‘50%대 못 미쳐’ 하반기 일감 일부 늘어
대부분 매출, 영업이익 전년 대비 감소 하반기 분위기 반전 기대 속 우려 상존
톤당 1만원 수준 ‘2천~3천원 인하’ 임가공 수요&매출↓ “설비 멈출 바에 저가 수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