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소재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사업’ 연계해, 기업 맞춤형 특화 지원
도공·LH공사·국가철도공단 등 17개 공공기관 통합 사용 업계 최초 쾌거... 안전성·경제성 테스트 모두 통과
프로세스 대전환으로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 수소환원제철기술 개발부터 재생에너지 확대
수출기업 대상 CE인증제도 소개…포스트코로나 해외진출 기업 위해 마련
기존 상용전극 대비 생산량 4배, 반응 내구성 100배 개선 LOHC 수소 저장체로도 가능성 커
2년 간 46억원의 연구비 확보, 원스톱 종합진단 플랫폼 임무 수행
연료전지, 수전해, 태양전지, 석유화학 등 다양한 분야 촉매개발에 활용 기대
내구성이 우수하고 저렴한 ‘수소연료전지 금속분리판’ 상용화 기대
리튬염수에서 이차전지용 초고순도 리튬염 정제에 특화, 시간 및 비용 절감 기여 다양한 농도의 리튬염 정제 위한 맞춤형 수지 신제품도 선보여
박준우 박사팀, 배터리 성능 저하 주범 ‘리튬 폴리설파이드’ 문제를 활성탄과 인으로 해결 경량성 및 플렉시블 성능 강화로 차세대 항공 모빌리티 활용 기대
신기술·공정 연구개발 바탕으로 신설비 투자 프로젝트 수행 기술 개선으로 생산성 향상과 신소재 용접연구 개발 통해 신제품 개발
국내외 지진발생으로 인한 내진 설계기준 강화 추세에 대형각관 하이스틸, 내진용 대형각관 하이스퀘어 생산 동양철관, 대형각관 자동화 생산라인 구축
이온, 부유고형물 공존 조건에서도 뛰어난 금 회수 성능 회수공정 비용/시간 대폭 감소 및 소재 대량생산, 반복 재활용 가능
GR 인증 이어 EPD 인증 추진... 고로 대비 적은 탄소 배출 어필 친환경 컬러강판 라인 ECCL 구축... 폐열 회수·태양광 등도 고려
29일 광주 스마트그리드본부서 준공식 개최, 국내 최초 인프라 구축 통한 산업계 기술 지원 전지의 대용량화 및 고안전성 실현 통해 ESS 화재 방지 및 재생에너지 간헐성 해소 기여
네오디뮴 사용량 약 30% 저감하고도 상용 자석 수준의 성능 구현
1Seam 용접 대형 각형강관 생산 이용해 CFT 기둥 제작 제작시간 절감과 생산성 향상으로 건설 시공성 높여
김해 LNG·극저온기계기술 시험인증센터 내 성능 평가 시스템 구축 완료 국내 중소·중견기업 국산화 및 산업 경쟁력 확보 기여
기존 소재 대비 포화자화 약 30%↑, 동등한 수준의 투자율 특성 갖춰
하이드로, 폴스타와 무탄소 알루미늄 프로젝트 착수 전기분해 과정서 산소만 배출되는 기술 상용화 목표
상용촉매 대비 고탈질율(30%↑)·고재생능(240℃)·고내구능(3배↑) 부여
알루미늄 강심 선재 대체용 그래핀 기반 초경량·대용량 전력용 선재 개발 한전, KAIST 등 4개 기관과 공동연구과제 협약 체결
STS 파이프 제품에 영구적 항균성 가진 니켈 결합 이노쉴드 항균 문손잡이, KCL에서 4시간 99.99% 항균력 인정받아